기름진 피 (고지혈증), 혈관을 막는다


진료인원이 2008년에는 74만 6천명에서 2013년에는 128만 8천명으로 1.73배가 상승했습니다. 2013년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고 증가율이 높으며 특히 5060세대 100명중 6명은 고지혈증을 앓고 있습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고지혈증"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74만 6천여명에서 2013년 128만 8천명으로 늘어 연평균 11.5%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2008~2013년 고지혈증 진료인원 추이

2008~2013년 성별 고지혈증 질환 진료인원 추이


고지혈증은 혈액 속에 지방 성분이 높은 상태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총콜레스테롤이 240mg/dl를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mg/dl 이상인 경우다.고지혈증 환자가 늘어나는 것은 서구화된 식이 습관, 운동 부족, 비만, 과도한 음주 및 스트레스 등의 요인 때문이며,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당뇨병, 고혈압 등과 같은 성인병이 함께 발병할 수 있습니다. 


2013년 성별/연령별 인구 10만명당 고지혈증 질환 진료 현황



2014/06/06 - [건강/스포츠/의학] - 노화를 막는 방법 8가지 소개합니다.


2014/06/13 - [건강/스포츠/의학] - 뇌졸중 위험, 닭가슴살 생선 섭취로 줄이자!!


* 고지혈증의 원인 및 증상

- 고지혈증은 비만, 유전적 원인, 식습관, 음주 등의 원인에 읭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수치가 정상보다 증가되어 나타나며


- 혈관 내에 찌꺼기가 끼면서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가 오는 문제가 있는데, 동맥경화로 혈관이 일부분 좁아져 있을 때는 증세가 전혀 없으며, 환자가 증세를 느끼게 되는 시점은 합병증이 발병한 시기다.


* 고지혈증의 합병증

- 혈관이 완전히 막히면 협신증, 심근경색, 중풍 및 말초동맥질환등과 같은 합병증에 따른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관리법

- 식이 습관 개선, 운동 및 체중 조절, 복부 비만의 개선 및 절주 등의 비약물적인 식생활 습관의 개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치료에도 수치가 개선되지 않으면 적극적인 약물 치료 (특히, 스타틴 제제)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동맥경화성 혈관 질환의 고위험군일수록 초기부터 적극적인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2014/06/10 - [건강/스포츠/의학] - 무릎과 관절의 뚝뚝 소리는?


2014/06/03 - [건강/스포츠/의학] - 임신·수유부의 식생활 건강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