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사건 이후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높여졌다고 하지만 아직도 우리는 안전불감증의 나라에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 열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에 역사 직원이 끼어서 숨지는 사건이 또 발생했는데요, 지난해 8월 강남역 사고가 떠올랐습니다. 


불과 9개월 만에 똑같은 사고가 반복이 된 것입니다.

그 동안 우리는 무엇을 했던 것일까요?



강남역 사고와 구의역 사고 모두 토요일 저녁에 혼자 작업하다가 발생한 것이었는데요, 결국 서울메트로의 관리와 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진 것인가에 대해서 논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구의역 사고, 지하철 사고, 스크린도어 사고 이래도 외주줄껀가?


지난해 강남역 사고 당시 서울메트로에서는 외주 정비 업체에 지휘와 감독권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해명을 해서 '책임 전가'라는 비난을 받았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안전 운행에 대해 개선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했지만 올해에도 여전히 스크린도어 정비는 외주의 영역입니다. 그리고 거의 비슷한 사고가 1년도 채 안되서 일어난 것이죠.



왜? 외주를 주는 것일까?

결국은 돈, 비용 절감을 위해서 안전이라는 부분을 포기한 것이죠. 비용은 당장 눈에 보이는 것이고 안전이라는 것은 어쩌다가 발생하는 부분이니까요.


결국 서울메트로에서는 외주업체 대신에 자회사를 세워서 스크린도어 유지와 보수를 맡기겠다고 하지만 사실 대책을 세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세워진 대책이 제대로 이행되는지 철저하게 확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죠.



이번 구의역 사고도 안전문 점검 시 지켜야 할 안전 규칙을 지키지 않아 일어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 2인1조로 투입돼 1명이 열차를 감시 
  • 출동 시 출동 사실을 역무실과 전자운영실로 통보 
  • 역 도착 후 역무실과 전자운영실 통보 
  • 작업 전·후 역무실과 전자운영실에 신고하고 작업표지판 부착


서울메트로에서 주장하는 것은


  1. 김씨가 역무실에 혼자와 두 명이 왔다고 말하고 안전문을 여는 열쇠를 가지고 나갔다.
  2. 김씨는 써야 하는 작업일지도 쓰지 않았다.


하지만 서울메트로는 김씨가 어떤 작업을 위해서 역에 왔는지 그리고 안전수칙대로 2명이 온 것이고 작업일지는 작성했는지 관리감독을 하지 않았죠.

결국 관리감독자인 서울메트로의 관리감독 소홀이 낳은 인재라고 생각이 됩니다.


0123


이번 구의역 지하철 사고는 인재사고라고 보고 수사기관을 통해서 책임 문제를 명확히 가려야한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