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업 10곳 가운데 6곳은 사원채용 시 토익점수 기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입사 시험에서 토익의 비중이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어회화 채용 면접또는 영어말하기시험 등급으로 진행한다는 기업은 절반에 가까워 토익 점수보다는 실제 영어 구사능력이 입사 성공의 필수 요건으로 부상하고 있다.


12개 업종의 매출액 상위 10개 기업 120곳(응답기업 107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토익점수 커트라인을 정해 놓은 곳이 40.2%(43개사)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반면 기준 점수가 없다고 답한 기업은 64개사로 59.8%에 달했다. 토익 점수 제한이 있는 기업들의 평균 기준 점수는 691점이었으며 사무직은 평균 715점, 기술직은 다소 낮은 668점으로 집계됐다.


지원가능 토익 점수는 사무직 기준으로 700점대가 가장 많은 62.8%를 차지했고, 800점대 16.3%, 500점대 9.3%, 600점대 7.0%, 900점대 4.7% 등의 순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전기 업종은 조사에 응한 기업 모두가 토익 점수가 일정기준 이상이어야 지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전자전기 업종의 경우 반도체, LCD모니터 등 주력 생산품의 수출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대로 내수 위주인 유통 업종은 토익점수 커트라인을 제시하고 있는 기업이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유통기업 인사담당자는 “다양한 구직자를 채용하는 업종 특성상 토익점수만 보게 되면 우수한 인재를 놓치게 될 우려가 있다”며 인재 선발의 폭을 넓히기 위해 토익을 기준으로 사원을 채용하지 않는 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조사대상 기업의 43%(46개)가 채용과정에서 영어면접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28.3%(13개사)는 토익점수 커트라인이 없는 대신 영어면접만 실시한다고 답했다. 구직자의 실제 영어 능력을 중시하겠다는 기업들이 토익 기준 점수 제시 기업보다 많아 영어면접이 더 중시되는 경향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영어 면접 실시 기업의 3곳 가운데 1곳 꼴인 32.6%는 지난해에 비해 영어면접 비중을 늘렸다고 밝혔다. 지난해와 영어 면접 비중이 동일하다고 답한 곳은 67.4%인 반면 비중을 줄였다는 기업은 한 곳도 없었다.


실제로 삼성은 신입사원 선발 때 ‘최소한의 영어 회화 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다른 항목의 점수와 관계 없이 모두 불합격 처리하겠다고 밝혀 둔 상태다. 어학자격은 계열사별로 다르지만, 삼성전자의 경우 연구개발직은 영어회화능력테스트(OPic)나 토익스피킹 등급이 각각 NH(Novice High) 4급 이상이어야 하고 영업마케팅직의 경우 각각 IL(Intermediate Low), 5급을 넘어야 한다.


* 관련 글


2014/07/04 - [토익/영어/오픽] - 토익만점 비결은? - 上


2014/07/05 - [토익/영어/오픽] - 토익만점 비결은? - 下


2014/07/06 - [토익/영어/오픽] - 영어일기 잘 쓰는 법 - 上


2014/07/07 - [토익/영어/오픽] - 영어일기 잘 쓰는 법 - 下


2014/06/12 - [사회/이슈] - 토익 만점 비법은 "오답 반복학습"


'토익/영어/오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익(TOEIC) 점수 환산표입니다.  (0) 2014.07.08
영어일기 잘 쓰는 법 - 下  (0) 2014.07.07
영어일기 잘 쓰는 법 - 上  (0) 2014.07.06
토익만점 비결은? - 下  (0) 2014.07.05
토익만점 비결은? - 上  (0) 2014.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