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이 무엇인지 어떤 질환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오늘은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이며 대사증후군 증상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30대 이상 성인남녀 3명 중 1명꼴로 많은 사람들이 대사증후군을 앓고 있지만 증상을 인지하고 있는 살마은 별로 없습니다.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 위험도는 직장여성보다 전업주부가 높습니다.
대사증후군이란 인슐린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해서 여러가지 성인병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대사증후군의 원래 병명은 X증후군이었습니다. 1988년 미국 의사 G.리븐이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인자가 함께 존재하는 것을 발견해서 지은 이름인데 이후 1998년 세계보건기구에서 대사증후군이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대사증후군 원인
대사증후군 원인
대사증후군의 원인은 인슐린이 포도당을 제대로 운반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우리 몸에 인슐린이 있어도 고혈당이 개선이 되지 않으며 인슐린 농도만 높아지는 것입니다.
대사증후군 증상
대사증후군 증상
대사증후군 증상으로는 혈당 대사이상에 의한 당뇨병과 지질대사 이상으로 인한 중성지방증가, 나트륨 성분 증가로 인한 고혈압, 고밀도 콜레스테롤과 요산 증가로 인한 통풍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일반적으로 복부비만이 동반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대장증후군 환자는 복부비만부터 줄여야 한다고 합니다. 복부비만만 줄이더라도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의 다른 요소가 좋아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금주나 금연도 필요합니다. 하루에 담배를 한 갑 피우게 되면 대사증후군 위험이 무려 24% 높아지며 한 갑 반을 피우게 되면 79% 높아집니다. 술의 경우 식욕을 자극하고 체내 지방 연소를 막기 때문에 복부비만을 악화시키며 심혈관 질환 위험을 함께 높입니다.
대사증후군 치료 방법
대사증후군 치료 방법
대사증후군은 명확한 치료 방법이 없어서 운동요법, 식이요법 등의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하루에 7~8시간의 수면시간을 지켜주며 1주일에 5일 하루에 30분 가량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대사증후군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름진 음식이나 단 음식 등 칼로리 밀도가 높은 음식을 피해야 하며 과일이나 야채, 식이섬유 등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휴식과 생활습관 개선이 꼭 필요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을 살펴보면
- 남자 90cm 이상·여자 85cm 이상의 허리둘레
- 혈액내중성지방(150mg/dl 이상)
- HDL콜레스테롤(남자 40mg/dl 이상, 여자 50mg/dl 이하)
- 혈압(130/85mmHg 이상)
- 공복혈당(100mg/dl 이상, 100 미만이어도 과거 당뇨병을 앓았거나 당뇨병 약을 먹는 경우 포함)
이 중에서 3가지 이상을 만족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휴식과 생활습관 개선이 꼭 필요합니다. 이상 대사증후군 증상과 원인, 진단 기준, 예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건강/스포츠/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리 부었을때 빼는 방법, 운동은? (0) | 2015.10.06 |
---|---|
중이염 원인과 귀지, 자주 파도 괜찮나? (0) | 2015.10.03 |
폐렴에 좋은 음식, 성분과 효능 (0) | 2015.10.01 |
모소낭 치료와 재발방지법 (0) | 2015.09.30 |
폐렴에 좋은 음식 5가지 (0) | 201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