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의 사회적 중요성
○ 암은 1983년 이래로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질병 중 가장 큰 경제적 부담을 초래함
○ 한국에서는 매년 19만 건 이상이 암으로 진단되고 있고 사망원인 중 암이 차지하는 비중은 28.2%에 달함
○ 이와 같이 암에 대한 사회적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2010년 집적된 국내 암 통계를 기반으로 발생률, 사망률, 유병률 및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함
국내 주요 사망원인, 2010년
¶ 암 발생률(Cancer incidence)
○ 2010년 암발생자는 202,053명이고 암사망자는 72,046명임
- 201년 1월 1일 기준으로 ‘9~’10년 동안 암을 진단 받은 960,654명의 유병자가 존재함
- 우리나라 국민들이 평균수명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4%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자 37.6%, 여자 3.3%로 나타남
○ 2010년 조발생률(CR)은 인구 10만명당 405.1명이며,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연령표준화발생률(ASR)은 인구 10만명당 286.4명임
- 암종별로는 갑상선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순으로 발생함
주요 암종 암발생 현황, 2010년
- 남자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순으로 상위 5대암이 전체 암발생의 68.1%를 차지함
- 여자는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간암 순으로 상위 5대암이 전체 암발생의 70.8%를 차지함
¶ 암 사망률(Cancer mortality)
○ 2010년 동안 총 72,046명이 암으로 인해 사망하였으며, 이는 전체 사망원인의 28.2%에 해당함
- 2010년 조사망률(CR)은 인구 10만명당 남자 181.0명, 여자 107.8명으로 나타남
-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연령표준화발생률(ASR)은 인구 10만명당 남자 14.7명, 여자61.6명임
- 치명적인 암으로 알려진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암 사망의 61.8%를 차지함
○ 최근 5년 사이 암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암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이가 관찰됨
연령표준화 암 발생률 및 암 사망률* 추이, 1983~2010년
¶ 한 곳에서 믿고 비교하자 보험비교사이트 인스벨리
¶ 암 발생률 추이
○ ‘9~’10년에 걸쳐 암 발생률은 연평균 3.3% 증가함
- 성별에 따른 연평균 증가율은 남자 1.5%, 여자 5.4%로 여성의 암 발생 증가율이 남성의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여성의 경우, 갑상선암 발생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유방암 발생률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남성에 비해 빠른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 여성의 갑상선암 발생률의 급격한 증가는 검진 기술의 발달과 암 검진율 상승에 일부 기인함
- 초음파 및 미세 바늘 흡인술(fine-nedle aspiration) 등의 갑상선암 검진기술의 정밀도 향상은 준(準)임상형질병(subclinicaldisease)*에 해당하는 갑상선암 진단을 가능하게 함
- 따라서, 진정한 발생률의 증가라기보다는 과거 존재했던 증상의추가 발견(identification)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음
주요 암종 연령표준화 발생률(ASR)* 추이, 199~2010년
¶ 연령군별 암 발생률
○ 연령군별로 구분했을 때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다음과 같음
- 0~14세 구간의 경우, 남녀 모두 백혈병이 1위를 차지함
- 15~24세 구간의 경우, 남녀 모두 갑상선암이 1위를 차지함
- 35~64세 구간에서 남자는 위암, 여자는 갑상선암이 1위를 차지함
- 65세 이상 구간에서 남자는 폐암, 여자는 대장암이 1위를 차지함
○ 위암, 폐암, 간암 및 대장암 발생률은 연령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40대 후반에서 가장 높고 갑상선암의 발생률은 50대 초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며 고연령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주요 암종 연령군별 발생률, 2010년
¶ 암 사망률(Cancer mortality) 추이
○ 성별을 구분하지 않은 연령표준화 암 사망률은 202년 이래로 매년 2.7% 감소함
- 남성의 폐암 사망률은 위암 사망률을 199년에 추월하였으며, 2010년에는 남성 암 사망의 21.7%를 차지함
- 남성의 폐암 사망률은 201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증가하는 추세임
- 위암과 자궁경부암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함
- 대장암, 전립선암 및 여성 유방암의 발생률이 현저하게 증가함에 따라 이들 암으로 인한 사망률도 증가하는 추세임
주요 암종 연령표준화사망률(ASR)* 추이, 1983~2010년
¶ 암 유병률(Cancer prevalence rates)
○ 201년 1월 1일 기준 조유병률은 인구 10만명당 1,925.9명이며 남자 1,739.0명, 여자 2,13.4명으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21.5%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표준화유병률은 인구 10만명당 남자 1,369.7명, 여자 1,46.7명임
- 5년간 암유병자수를 살펴보면 갑상선암이 전체 암유병자의 21.1%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위암(16.2%), 대장암(14.3%), 유방암(9.6%), 폐암(5.3%), 간암(5.1%)의 순으로 나타남
○ 암종별 유병자 수를 살펴보면 갑상선암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반면, 폐암, 간암 등의 치명적인 암은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병자 수가 낮게 나타남
¶ 한 곳에서 믿고 비교하자 보험비교사이트 인스벨리
'보험 > 암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자리 암일 경우 보험금의 청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4.10.05 |
---|